일반적으로 분기차단기에 많이 사용되는 ELB(누전차단기)기 용량은 20A를 많이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전등, 전열 라인이 20A를 사용하고

 

용량이 큰 부하(에어컨 or  커피머신 등)는 30A 차단기를 사용하고 콘세트가 아닌 직결을 해서 사용을 한다 (당연히 전선의 굵기도 최소 4 ~ 6SQ이상의 전선을 사용)

 

그러면 차단기에 얼마정도에 용량을 사용하면 좋을까 ?

 

차단기 정격의 100%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차단기에 자체에 열이 발생해서 차단기 수명이나 절연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또한 접속 단자도 열화가 되고 전선도 열에 의해서 허용전류가 낮아지고 절연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차단기 정격의 70 ~ 80% 용량을 사용한다.

 

Ex) 누전차단기 20A 경우 14 ~ 16A를 사용

                          30A 경우 21 ~ 24A를 사용

 

 

 

'전기실무자료 > 전기실무(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설비 판정기준 값  (0) 2023.08.01
전압의 종류에 대한 오차범위  (0) 2023.08.01
정격전압 + 등전위  (0) 2023.07.09
전기 패널 약호  (0) 2023.07.09
전열라인 차단기 트립시 대처법  (0) 2023.07.09

'전기실무자료 > 전기실무(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압의 종류에 대한 오차범위  (0) 2023.08.01
차단기 부하분담  (0) 2023.07.28
전기 패널 약호  (0) 2023.07.09
전열라인 차단기 트립시 대처법  (0) 2023.07.09
저압반 계통도 약호  (0) 2023.06.14

현장마다 다를 수 있음

'전기실무자료 > 전기실무(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단기 부하분담  (0) 2023.07.28
정격전압 + 등전위  (0) 2023.07.09
전열라인 차단기 트립시 대처법  (0) 2023.07.09
저압반 계통도 약호  (0) 2023.06.14
분전반 부하분담  (0) 2023.06.14

1. 2인 1조로 점검
2. 장갑, 공구 및 테스터기 준비 (메거, 멀티테스터기, 누설전류계)
3. 전열라인 도면 (핸드폰으로 볼 수 있게 항상 준비)
4. EPS실 차단기 확인 
5. 문제가 있는 전열라인 위치로 방문해서 상황 파악

   (고장 상황 듣기, 부하 종류 파악, 눈으로 콘센트 등 확인, 탄 냄세가 있는지 확인)
6. EPS실 트립된 차단기 2차측 분리
7. ELB일 경우 누전차단기 동작 점검

# 전체 전열라인 점검 (라인+부하 포함) 

 - 분전반 내부 SPD 설치가 되어있거나 민감한 기기가 있으면 메거 측정은 250V / 일반적인 상황은 500V 
8. 절연저항계로 절연저항 측정 (절연저항 수치 메모 필수) => 상황에 따라서 절연저항 수치가 변동 될 수 

    있음
9. 멀티테스터기로 H+N 라인 선간 저항 측정, 도통 테스트 

    : 단락 확인 (선간 저항 측정 시 부하의 내부저항이 측정 될 수 있음, 도통 소리가 안나야 정상)

# 전열라인의 부하 분리 후 선로 점검 
10. 절연저항 측정 (전체 전열라인 절연저항 수치 값 비교)
11. 멀티테스터기 선간 저항 및 도통 테스트 

     : 단락 확인 (부하가 없기 때문에 선간 저항은 무한대, 도통 테스트는 소리가 안나야 정상)

# 부하 기기 점검
12. 절연저항 측정 : 기기 접지에 적색 리드봉(Line), 기기 전원 라인에 검은색 (Earth) + 250V로 측정
13. 선간 저항을 통한 기기 내부 저항 및 도통 테스트 : 단락 확인

# 점검 및 이상 상황 조치 후 차단기 복구
14. 누설전류계로 누설 전류(IGO) 측정
15. 1mA 이상의 누설 전류 측정시 - 저항성 누설전류(IGR) + 용량성 누설전류(IGC) 측정

16. 저항성 누설전류(IGR) 1mA 이하시 안전

17. 용량성 누설전류(IGC) 측정 값 기록 (지속적으로 관리)

'전기실무자료 > 전기실무(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격전압 + 등전위  (0) 2023.07.09
전기 패널 약호  (0) 2023.07.09
저압반 계통도 약호  (0) 2023.06.14
분전반 부하분담  (0) 2023.06.14
감전 시 인체에 나타나는 현상  (0) 2023.06.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