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설전류가 5mA 넘게 측정되는 곳이 있어서 점검을 하게 되었다.
누설전류가 1mA 넘어가면 관리는 해야 되는데 누설전류 성분이 IGR(저항성)인지 IGC(용량성) 인지 파악을 하면 관리하기에 용의 하다.
1. 저항성 누설전류 (IGR) = 인체 감전에 영향을 미치는 누설전류
2. 용량성 누설전류 (IGC) = 대지 정전용량 전자 기기 (컴퓨터, LED 등)에서 나오는 누설전류
3. 합성 누설전류 (IGO) = ELB가 인식하는 누선전류 (IGR+IGC) 저항성 누설전류가 높으면
절연저항계로 정확한 절연상태 를 확인해야 한다.
누설전류 6.4mA중에 저항성 누설전류 값은 0.2mA 이기 때문에 누설전류 1mA는 넘지만 양호
물론 용량성 누설전류 6.2mA를 기록 하고 계속 관리해야 한다.
사진에는 없지만 별도의 IGR(저항성 누설전류) 값도 표시가 가능
'전기실무자료 > 전기실무(점검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한 디지털접지저항계(SH-5030S) 사용방법 (0) | 2024.01.15 |
---|---|
히오키 절연저항계(IR4050) 사용방법 (0) | 2024.01.15 |
누전경보기(ELD) 동작으로 인한 배수펌프 점검 및 선로 점검 (0) | 2023.04.15 |
약식 접지저항 점검 (2선 간이 측정방식) (0) | 2021.03.04 |
Y-델타 기동 MCC 판넬 및 유도전동기 점검 (0) | 2020.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