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델타 MCC 판넬에 이상이 있다는 설비팀의 요청으로 방문하게 되었다. 

 

우선 Y-델타 기동을 사용하는 이유는 3상 유도전동기를 작동시에 기동전류는 평소보다 정격전류의 6~7배 정도 상승하게 된다. 유도전동기에 따라서 다르지만 보통 5~10초 정도 기동전류로 유도전동기가 동작하게 된다. 짧은 시간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정격전류의 6-7배 정도이기 때문에 기동과 정지를 반복할 경우에 유도전동기 코일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Y - 델타 기동을 사용하게 되면 Y 결선 동작시 기동전류를 1/3으로 줄일 수 있게 되어서 기동시 유도전동기에 무리를 주지 않고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시퀀스는 Y결선에서 델타 결선으로 넘어가는 시간을 조정하는 타이머가 들어가게 된다. 타이머 역시 유도전동기 스펙에 맞추어서 조정을 해주어야 한다. 

 

1. Y-델타 MCC 판넬 자동제어 이상 유무 확인 - 시퀀스 타이머가 0초로 되어있었다. 

   = 타이머가 0초로 세팅되어 있어서 기동시 델타로 기동이 되었다.

2. 3상 유도전동기 절연저항 및 권선 저항을 측정하기 위해서 전력용 콘덴서 분리 후 측정

   - L1(R) L2(S) L3(T) 상 모두 절연저항이 1.3M옴 좋지 않음 / 권선 저항은 멀티테스터기로 측정이 정확하게 

     되지 않을 정도로 좋지 않았다. / 저저항 측정을 통해서 권선의 저항 편차가 크고 이상이 있음을 확인 했다. 

 

결론 - 타이머가 0초로 세팅 되어 있어서 기동전류를 1/3으로 줄이지 못하고 델타결선으로 동작하게 되어서 

        유도전동기 절연저항 저하 및 내부 권선이 손상이 되었다. 

 

 

타이머가 0초로 세팅이 되어있다. ㅜ.ㅜ
전력용 콘덴서 및 단자대 모습
절연저항 / 권선저항 측정을 위해서 전력용 콘덴서 라인을 분리
L1(R)상 전연저항 1.48M옴 - 나쁨 / L2, L3 절연저항 값 비슷함 
권선저항 측정 (측정편차가 크다)
권선저항 측정 (측정편차가 크다)
저저항측정(권선간 편차가 크다)
저저항측정(권선간 편차가 크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