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3일 오후 20:00시에 학교 전체에 순간정전이 발생했다. 당직 근무자 이야기를 들어보니 형광등이 잠시 깜빡일 정도의 시간이라고 했다. 당직 근무자가 순간정전은 처음 겪는 일이라서 어떻게 대처를 해야 되는지 잘 모르겠다고 했다.
각 사업소 및 시설마다 차이점은 있지만 학교 같은 경우는 대략 이렇게 대처를 한다.
1. 각 건물의 수변전실의 UVR(부족전압) 계전기 동작을 확인 한다.
통상 UVR 트립 설정은 정격전압 60%이하 전압에서 5초 이내로 세팅 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보통의 순간정전 같은 경우에는 UVR이 동작하지 않지만 세팅 값에 따라서
동작하는 경우도 있다.
순간 정전으로 UVR 동작시 리셋 및 복전 절차가 있지만 전기안전관리자에게 내용을 먼저
전달을 하고 지시사항에 맞추어서 복전을 하면 된다.
※ 순간정전으로 인한 UVR 트립이 된 경우
1) UVR 계전기가 동작이 되면 VCB가 트립이 되고 ATS를 통해서 비상용 발전기가
동작하게 된다.
2) VCB 판넬을 보면 부져가 울면서 OFF 램프(초록색)이 들어와 있다.
※ 복전방법
1) LBS 판넬을 통해서 한전 측 전원이 살아 있는지 확인을 한다.
2) VCB 판넬의 부져 스탑 버튼을 누른다.
3) VCB 판넬 리셋 버튼을 눌러서 시퀀스를 초기화 + UVR 계전기 리셋
4) 풀턴 스위치를 당기고 오른쪽으로 돌린다.
5) VCB 동작 소리가 들리면서 ON 램프(적색)이 들어온다.
6) ATS 를 통해서 비상용 발전기가 멈추게 된다.
원칙적으로 ACB OFF / 배전반 MCCB OFF 후에 복전을 하지만 학교의 설비의 부하가
크지 않기 때문에 전기안전관리자의 특별한 지시가 없으면 위에 방식 대로 복전을 하면
된다.
2. 배수 펌프 및 자기유지 회로를 이용한 자동제어 설비 확인
1) 수동으로 동작되는 배수 펌프의 경우에는 순간정전으로 전압이 강하 되어서
자기유지 회로가 중단이 되기 때문에 다시 투입을 해야 한다.
2) 각 건물의 AVR(자동전압조정장치)도 확인 해야 한다.
3) 이 외의 자기유지 회로로 동작하는 설비(전등 라인 및 펜코일 라인)를 점검 한다.
4) UPS 동작 설비도 정상 동작 했는지 확인한다.
'수변전자료 > 수변전설비(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압기 큐비클 판넬 TIC(온도조절기) 조작전원 확인 및 기록 (0) | 2023.07.20 |
---|---|
변압기 누설전류 측정 (중성점 접지 측정) (0) | 2023.07.07 |
변압기 온도 콘트롤러 단자 분리 작업 (0) | 2023.04.09 |
수변전실 큐비클 리미트 스위치 교체 (0) | 2023.04.09 |
비상발전기 배터리 폭발 (배터리 결선 분리 작업) (0) | 2019.07.07 |